에이전시, 편견이 깨졌습니다

안녕하세요. 림앤코 매니저 jee입니다. 어느덧 림앤코에 합류한 지 1년이 넘었는데요. 처음 입사한 계기를 소개하려고 해요. 지난 커리어와는 다르게 제가 원하는 기준과 가치를 고민해보고, 입사한 첫 경험이었거든요. 그럼 시작할게요!

에이전시에 대한 편견이 많았습니다. 일감이 많고, 클라이언트 의견대로 곧이곧대로 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었거든요. 다음 이직할 회사를 고른다면, 에이전시는 무조건 거른다는 생각이었어요.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이전시를 택했어요. 업종 성격보다, 일하는 방식이 더 중요하다는 걸 알았기 때문인데요. 어떻게 입사하게 됐는지,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말해볼게요.

회사와 잘 맞는지 궁합(?)보기

8개월 차 프리랜서 시기를 보낼 즈음, 한 에이전시에서 입사 제안을 받았어요. 그게 림앤코인데요. 안 들어갈 이유는 딱히 없었어요. 퇴사하고 막상 프리랜서로 일하니 흥도 떨어지고, 포트폴리오도 탐나더라고요. 추구하는 콘텐츠의 결도 좋았고요. 그래도 바로 응하기는 어렵더라고요. 드라마(aka 대행사)처럼, 야근을 밤새서 한다는 둥, 갑질을 엄청나게 당한다는 둥 관련 루머가 떠올랐거든요.

제가 택한 방법은 검증인데요. 들어가고 싶은 곳인지 가설을 세워 검증하기로 했어요. 회사가 후보자를 면접하듯, 저도 회사를 면접한다는 마음으로요. 다행히 프리랜서 신분으로 먼저 일할 수 있어, 운 좋게 근무 환경을 면밀히 살필 수 있었어요. 일하는 방식, 업무량, 회사 문화를 눈치껏 살폈고 직원들의 솔직한 답변이 듣고 싶어 회사의 장단점을 묻기도 했어요. 어느 회사든,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잖아요. 그 단점을 제가 감당할 수 있을지를 봤어요. 확신이 들자 rim님(aka 대표님)에게 이메일 한 통을 보냈어요. 하고 싶은 업무와 채우고 싶은 역량을 정리해서요.

메일을 토대로 서로의 기대치를 확인하는 대화를 나누니, 회사에서 저의 역할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. 제일 만족도가 높은 입사 프로세스이기도 했고요

 

<내가 회사에 요구하는 사항>

  1. 일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공유하고 싶어요 - 결과물뿐 아니라 태도, 방식 등 문화를 공유하는 업무 (예시 : 홍보 콘텐츠 작성)

  2. 데이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선하고 싶어요 - 감으로 콘텐츠를 개선하는 대신, 데이터로 성과 분석 및 콘텐츠 디벨롭

<회사가 나에게 요구하는 사항>

  1. 기획력 - 뾰족한 기획력과 눈길이 가는 카피를 뽑는 능력 - 차별화된 콘텐츠 제작 능력

  2. 디자인 컴케 능력 - 디자이너와 매끄럽게 컴케하는 능력 / 디자인 이해도

 

넵무새 대신, 윈윈하는 법 배우는 중

출처 : MBC

에이전시를 다니는 지인이 종종 말했던 게 있어요. ‘결국 클라이언트가 결정하는 거예요. 저희는 넵무새하는 거고요.’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제안서를 밤새 쓰는 게 에이전시 사람들인데 씁쓸하더라고요. 서로 생각하는 지점이 달라 클라이언트와 조율할 수 있지만, 주체성을 빼앗기면 안 된다고 생각했어요.

여기는 제가 생각한 에이전시와는 달라 보였어요. 방향을 주도적으로 끌고 제안하는 곳 같았거든요. 단순히 콘텐츠 제작 업체라고 말하기보다 브랜드에게 더 나은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컨설팅이나 새로운 제안을 하는 것도 봤고요. 어떤 미팅에서 rim님은 격식 있는 옷차림보다, 모자를 푹 눌러 쓰고 간다는 말을 해줬어요. 자유롭고 주체적으로 일한다는 걸 드러내기 위함이라면서요.

그런 문화에 반해 입사했지만 여전히 저는 담당 클라이언트의 말에 잘 휘둘립니다. 생각한 대로 클라이언트와 조율되지 않을 때도 있고요. 그럴 때 rim님이 건네는 조언이 꽤 도움 됐어요. “오히려 브랜드 측에서 jee님이 이렇게 하자고 먼저 제안하는 게 더 원하는 걸 수도 있어요. 이제까지 흐름과 배경을 이야기하면서 설득하면 다 동의할 분들이에요.”라고 다른 시각을 말해줬거든요. 클라이언트의 이슈를 유연하게 대처하되 주도성을 잃지 않는 것. 초보가 낑낑대며 줄다리기하는 느낌인데요. 덕분에 매끄럽게 컴케하는 법을 배우고 있어요.


나무와 숲을 동시에 보는 연습

과거 제 커리어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에디터였는데요. 여기서는 ‘콘텐츠 매니저’로 일하고 있어요. 과거에는 제작자들끼리(디자이너, 에디터) 콘텐츠를 완성도 있게 만드는 업무에 몰두했다면, 요즘은 예산, 전략, 제작, 개선 등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반적인 영역을 살피고 있어요. 에디터로 일할 때만 해도 콘텐츠 제작에 어느 정도 감이 있다고 여겼는데, 어설픈 착각이었더라고요. 롱블랙에서 본 테라로사 대표의 글이 뒤통수를 세게 때렸는데요.

“꼭 원산지를 직접 찾아야 좋은 원두를 고를 수 있을까요. 김용덕 대표는 “원두가 생산되는 모든 과정을 머릿속에 집어넣어야 한다”고 말합니다. 그래야 커피를 맛볼 때 어느 단계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알 수 있대요.

”모든 일이 한 단계 더 들어가기 전에는 비슷해 보입니다. 굳이 더 들어가지 않아도 흉내 낼 수 있을 것 같아요. 그런데 더 들어가 보면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열려요. 들어간 사람만 보는 세계가요.

원두 만드는 모든 과정을 지켜본 사람은 커피를 마시면서 이 맛이 왜 나는지를 알아챕니다. 이 원두는 가공할 때 이런 실수가 있었겠구나, 로스팅 단계에서 열과 공기의 흐름을 잘못 다뤘구나,

-롱블랙Longblack, 테라로사 편-

커피처럼, 콘텐츠도 마찬가지더라고요. 단순히 맛깔난 카피, 감각적인 디자인 말고도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 게 필요했어요. 이 정도 예산일 때면, 어떤 콘텐츠가, 몇 명이서 투입되는 게 최선인지. 성과는 어떻게 파악해야 좋은지, 개선하려면 어떤 전략을 수정해야 하는지 등. 언젠가는 넘어야 하는 산인 만큼, 그냥 해보는 중입니다. 하다 보면 능숙해질 거라 믿으면서요.

전설의 그냥 하는 짤 (출처 MBC)

저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. 림앤코 사람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인스타그램에서 림앤코(@rimandco_com)를 찾아주세요!

 
 
Previous
Previous

고객 방문을 유도하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4 : 기획제작편

Next
Next

인생 첫 직장, 림앤코에서 3개월